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후동행카드 이용 방법, 할인 혜택, 조건 알아보기
    카테고리 없음 2025. 1. 24. 15:38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카드입니다. 2023년 1월 27일부터 시범사업이 시작되었고, 7월부터 정식 도입되었습니다. 이 카드는 특히 만 19세에서 39세 청년에게 매우 유용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소개 < 교통 < 서울특별시

     

    기후동행카드의 장점과 혜택

    기후동행카드는 누적 판매량이 150만 장을 넘을 만큼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가격은 7천 원으로, 월 5만 원대에 무제한으로 서울 지하철, 서울시 면허 버스, 공유자전거(따릉이)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서울시립과학관 50% 할인 및 국립발레단 티켓 할인과 같은 문화시설 할인 혜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 조건

    • 무제한 이용: 서울 지하철, 면허 버스, 따릉이.
    • 문화시설 할인: 다양한 문화 혜택 제공.

     

    또한, 관광을 즐기고 싶은 분들을 위해 1일권부터 5일권까지 다양한 관광권도 판매하고 있으며, 모바일 카드 발급도 가능하여 편리함을 더합니다.

     

     

    단점

    하지만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지역에 한정되어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GTX, 신분당선, 공항버스, 광역버스 등은 이용할 수 없으니, 이 점은 미리 고려해야 합니다.

     

     

    K-패스와의 비교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지 K-패스를 사용할지 결정하는 데 있어 대중교통 이용 패턴이 중요합니다. K-패스는 전국 17개 시도와 189개 시군구에서 사용 가능하며, 환급 방식으로 대중교통비를 적립합니다. 개인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에 따라 K-패스가 더 유리할 수 있으니, 교통비 계산을 통해 최적의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카드 종류

    일반 요금

    K-패스 환급

    기후동행카드

    가격

    78,000원

    62,400원

    62,000원 또는 65,000원(따릉이 포함)

    청년 기준

    -

    54,600원 (30% 환급)

    55,000원 또는 58,000원(따릉이 포함)

     

    결국,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청년층에게 매우 유용한 카드입니다. 그러나 서울 지역에 한정된 사용이기 때문에 개인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에 따라 K-패스와의 비교가 필요합니다. 올바른 선택을 통해 더욱 친환경적인 이동을 즐겨보세요!

     

     

    기후동행카드 소개 < 교통 < 서울특별시

     

    댓글

Designed by Tistory.